전체보기
전북 고창 주엽나무_생명의숲 고목나무 이야기 #19 주소복사

고목나무*는 아득한 옛날부터 제사를 올리던 당산나무로서, 뙤약볕 여름농사에 지친 농민들의 안식처로서, 수백 년에서 때로는 천년을 넘겨 변함없이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제대로 된 통계가 없지만 우리나라 전체 고목나무는 3~4만 그루 정도 됩니다. 이중 나라의 보호를 받는 고목나무는 보호수* 1만4천여 그루, 시·도기념물 및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문화재 약 3백 여 그루 정도에 불과합니다. 보호수는 각 지방자치단체에 관리와 보호가 맡겨져 있지만 지자체장의 관심도에 따라 실태는 천차만별입니다. 결국 문화재로 지정된 극소수의 고목나무들을 제외하면 제대로 보호받지 못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우리는 우리 주변의 고목나무들을 찾아 지금의 실태를 파악하고 고목나무 보호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는 일부터 시작합니다.


지금부터 박상진 교수님이 200년 전의 시간을 거슬러 들려주는 전북 고창 주엽나무 이야기, 함께 들어 보실까요?






오늘 들려줄 나무 이야기는 이름이 조금 생소할 수 있는 ‘주엽나무'란다. 






이 주엽나무는 전북 고창군 대산면 중산리 마을의 지방도로 바로 옆, 논 가장자리의 석교천 제방 아래에서 자라고 있어. 원래는 개울가에 자라고 있었는데, 도로와 제방을 높게 쌓으면서 자라는 위치가 상대적으로 낮아진 것으로 보이는구나. 나무는 200년 정도의 수령이고, 높이는 8m정도, 흉고둘레는 320cm가 넘는 크기로 수고가 크게 높은 편은 아니야. 게다가 도로보다 낮은 곳에서 자라는 탓에 고목이면서도 작달막한 느낌을 갖고 있고, 가지의 뻗음이 아름답단다. 수형을 보면 보는 방향에 따라 수관이 마름모꼴이 되며, 옆으로 약간 긴 타원형의 수관을 갖고있어. 그리고 전체적인 모양에서 봤을 때, 220cm정도의 높이에서 수간이 3갈래로 갈라져있어. 

전체적으로 건강한 편이고, 줄기의 중간쯤 가지가 절단된 부위에 공동이 있는 것 외에는 특별히 훼손된 부분이 보이진 않는구나. 그런대로 자연상태 그대로 잘 보호되고 있는 모습이야. 






우리에게 조금 생소할 수 있는 주엽나무에 대한 설명을 조금 덧붙여보면, 학창시절 문학시간에 배웠던 ‘한림별곡'에서도 이 주엽나무와 관련된 구절을 찾아볼 수 있는데, ‘조협나무(주엽나무의 옛 이름)에 붉은 실로 붉은 그네를 매옵니다’라는 구절이 바로 그것이란다. 적어도 고려시대 이전부터 민가 가까이에 흔하게 심었던 나무임을 알 수 있지. 


주엽나무는 한자 이름인 조협목에서 조협나무를 거쳐 지금의 주엽나무로 불리게 되었단다. 그리고 주엽나무를 두고 불리는 여러 가지 이름이 있는데, 일부 지방에서는 ‘주염나무’ 혹은 ‘쥐엄나무’라고도 부른단다. ‘쥐엄’이란 쥐엄떡(인절미를 송편처럼 빚고 팥소를 넣어 콩가루를 묻힌 떡)에서 유래된 말인데, 주엽나무의 열매가 익으면 속에는 끈끈한 잼 같은 것이 있어서 먹으면 달콤한 맛이 나므로 쥐엄떡과 비유되어 이런 이름이 생긴 것으로도 이야기한단다.




주엽나무에서 눈 여겨볼만한 특징을 하나 들려주면, 나무의 가지에는 가시가 없어도 굵은 줄기에는 흔히 험상궂게 생긴 가시가 붙어있다는 점이란다. 이 가시는 꼭 외부 자극으로 만들어지는 것도, 모든 주엽나무에 반드시 만들어지는 것도 아니므로 아주 귀하게 여기게 되지. 한자로는 이 가시를 조각자(皁角刺) 혹은 조협자(皁莢刺) 라고 하는데, 동의보감에 보면 부스럼을 터지게 하고 이미 터진 때에는 약 기운이 스며들게 하여 모든 부스럼증을 낫게하고 한센병(나병)에도 좋은 약이 된다고 해. 이렇게 험상궂은 가시가 많은 모습 때문에 이 마을에서도 예로부터 마을 앞 야산의 묘지 근처에 나타나는 귀신을 퇴치하고자 주엽나무를 심었다는 전설이 있단다. 






 한편 주엽나무의 열매는 조협, 열매의 씨는 조각자(皁角子) 혹은 조협자(皁莢子)라 하여 '뼈마디를 잘 쓰게 하고 두통을 낫게 하며 구규(九竅. 귀, 눈, 코, 입, 생식기, 항문으로 몸에 있는 아홉개의 구멍)의 기능을 잘 통하게 하고 가래침을 삭이고 기침을 멈추게 한다'고 하는구나. 세종실록지리지에도 여러 지방의 특산품으로 기록되어 있어서 주엽 열매를 오래 전부터 약으로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지. 




 주엽나무는 전국에 걸쳐 자라며 잎이 떨어지는 큰 나무로서 보통 키가 20여m, 지름은 한 아름까지 굵어지는 나무란다. 대부분의 나무가 나이를 먹으면 껍질이 세로로 깊게 갈라지는 것이 보통이지만, 주엽나무는 매끄러운 줄기가 특징이며 가끔 예리한 가시가 달리지. 잎은 어긋나기에 꼭 아까시나무 잎처럼 생겼고, 작은 잎의 가장자리에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어. 특징적인 것은 잎자루에 마주보기로 붙어있는 잎이 대부분의 다른 나무들은 홀수이나 주엽나무는 짝수라는 것. 꽃은 초여름에 황록색으로 피고 열매는 가을에 길이가 거의 한 뼘에 이르고 너비 2-3cm의 비틀어진 큰 콩꼬투리의 열매를 맺는단다. 

 주엽나무처럼 우리 문화 속에 녹아있는 나무이지만 고목으로 남아있는 나무는 매우 드물단다. 조사된 주엽나무 중에서 규모가 가장 크며, 관련된 전설도 갖고있는 나무이니 국가 문화재로 지정하여 보호할 필요가 있겠구나. 




나무 할아버지와 함께 만난 전북 고창 주엽나무


  • 고목나무 : 주엽나무(Gleditsia japonica var. koraiensis Nakai)

  • 그        루 : 1그루

  • 추정나이 : 200년

  • 관리등급 : 전라북도 보호수

  • 관리번호 : 9-14-36

  • 지  정  일 : 1999년 9월 14일

  • 소  재  지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중산리 820


*고목나무 : 주로 키가 큰 나무로, 여러 해 자라 더 크지 않을 정도로 오래된 나무를 말하고 있습니다. 노거수( 巨樹에 老를 붙여서 쓰는 말)라는 말보다 고목(古木)나무로 전통적으로 쓰여지는 정감있는 표현을 씁니다. 

*보호수 : 유전자, 종, 생태계 등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해 나무를 보호하는 제도 또는 그에 따라 지정된 나무를 말합니다.

*풍치목 : 멋스러운 경치를 더하기 위하여 심는 나무



나무 할아버지 박상진 교수님은? 

1963년 서울대 임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교토대학에서 농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산림과학원, 전남대 및 경북대 교수를 거쳐 2006년 정년퇴임했으며 현재 경북대 명예교수로 있다. 한국목재공학회장, 문화재청 문화재 위원을 역임했다. 2002년 대한민국 과학문화상, 2014년 문화유산 보호 유공자 포상 대통령표창을 받았다.


오랫동안 궁궐을 비롯한 역사 문화 유적지에 자라는 고목나무 및 천연기념물 나무 조사와 해인사 팔만대장경 경판, 관재, 고선박재, 고건축재 등 목조문화재의 재질 연구도 함께 해왔다. 지금은 우리 선조들이 나무와 어떻게 더불어 살아왔는지를 찾아내어 글을 쓰고 강연과 답사를 통하여 이를 소개하는 일에 매진하고 있다.


저서로는 ≪궁궐의 우리나무≫(눌와, 2014), ≪나무탐독≫(샘터, 2015), ≪문화와 역사로 만나는 우리나무의 세계Ⅰ,Ⅱ≫(김영사, 2011)≪우리 문화재 나무답사기≫(왕의서재, 2009), ≪나무에 새겨진 팔만대장경의 비밀≫(김영사, 2007), ≪역사가 새겨진 나무이야기≫(김영사, 2004), ≪나무, 살아서 천년을 말하다≫(중앙랜덤하우스, 2004) 등이 있다.


생명의숲 회원이자 고문으로 나무와 숲의 귀함을 시민에게 알리기 위해 <궁궐과 왕릉의 나무이야기><숲기행><궁궐의 오래된 나무 만나기> 등을 함께 하고 있으며,  2021년 시민 모두가 쉽게 우리가 지켜야할 나무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 박상진 교수의 나무세상 페이지를 생명의숲에 기부하였다.



우리 주변의 보호수와 이름 없는 고목나무를 위해 행동하는 생명의숲과 함께 하기


생명의숲 정기후원하기  http://bit.ly/supportforest

생명의숲 뉴스레터 구독하기  http://bit.ly/newsforest

더 많은 나무이야기가 궁금하다면,  http://treestory.forest.or.kr



** 고목나무 이야기에 소개되는 고목나무에 대한 자료와 정보(사진, 방문기)를 공유 해 주세요. 공유해주신 자료(최근사진)는 해당페이지에 출처표기 후, 앞으로 유용한 자료로 쓰입니다. 아래 메일주소로 고목나무 정보 공유 소식을 기다립니다.

 everyone@forest.or.kr


* 댓글은 <성명,비밀번호, 내용 입력 후 '로봇이 아닙니다' 앞 네모를 클릭> 하셔야 등록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