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충남 부여 무환자나무_생명의숲 고목나무 이야기 #5 주소복사


고목나무*는 아득한 옛날부터 제사를 올리던 당산나무로서, 뙤약볕 여름농사에 지친 농민들의 안식처로서, 수백 년에서 때로는 천년을 넘겨 변함없이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제대로 된 통계가 없지만 우리나라 전체 고목나무는 3~4만 그루 정도 됩니다. 이중 나라의 보호를 받는 고목나무는 보호수* 1만4천여 그루, 시·도기념물 및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문화재 약 3백 여 그루 정도에 불과합니다. 보호수는 각 지방자치단체에 관리와 보호가 맡겨져 있지만 지자체장의 관심도에 따라 실태는 천차만별입니다. 결국 문화재로 지정된 극소수의 고목나무들을 제외하면 제대로 보호받지 못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우리는 우리 주변의 고목나무들을 찾아 지금의 실태를 파악하고 고목나무 보호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는 일부터 시작합니다.


지금부터 박상진 교수님이 400년 전의 시간을 거슬러 들려주는 충남 부여 무환자나무 이야기, 함께 들어 보실까요?








오늘은 특이한 이름을 가진 고목나무 한그루를 소개하는구나. 

바로 무환자나무란다. 무환자나무는 말그대로 ‘환자가 생기지 않는다’는 뜻이지.

원산지인 중국에서도 무환수(無患樹)라고 부르는데, 늙어서 병들어 죽음에 이르는 인간의 원죄가 없어진다는 뜻이라니, 수많은 세상 나무 중에 이보다 더 좋은 나무가 어디 있을까?

그래서 옛사람들은 집안의 근심 걱정, 우환, 자녀의 병을 막고 무병장수를 기원하기 위해 이 나무를 집 근처에 심었단다.



이 이름에 얽힌 사연을 들려줄게. 옛날 중국에 무엇이든지 다 알아맞히는 이름 난 무당이 있었는데, 그 무당이 무환자나무의 가지로 귀신을 때려 죽였다고 한단다. 그래서 나쁜 귀신들은 이 나무를 보면 도망을 가고 싫어하였대. 그래서 이를 안 사람들 역시 무환자나무를 베어다 그릇을 만들고, 집안에 심기도 하였다는구나. 그리하여 중국의 도교 신자들을 중심으로 귀신을 물리칠 수 있는 이 나무를 자연스럽게 '무환'이라고 부르게 되었고, 지금의 무환자나무가 되었다는 설이구나.

 

무환자나무는 중국과 일본 남부, 대만, 인도처럼 난대, 아열대 지방을 고향으로 하는 나무란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도 주로 남도와 남부 섬 지방에서 많이 보이지. 그런데 특이하게도 오늘 소개하는 고목나무는 우리나라 중부 지방인 부여에 떡하니 자리잡아, 아직까지 활력 넘치게 살아있구나! 


 


무환자나무의 잎은 아까시나무 마냥 9∼13개의 작은 잎이 한 대궁에 붙어있는 형태야. 늦은 봄에는 원뿔모양 꽃차례에서 팥알 크기 정도의 작은 꽃이 적갈색으로 핀단다. 열매는 둥글고 지름 2cm 정도로 가을이 짙어 갈 때 황갈색으로 익는단다. 모양은 마치 작은 감처럼 생겼고, 가지에 붙은 부분에는 작은 딱지(심피)가 살짝 입을 벌리고 있는 것 같아 깜찍하게 느껴지기도 하지. 씨앗은 돌덩이 같이 단단하고 만질수록 더욱 반질반질하여 스님들의 염주재료로도 쓰인단다. 그래서 누군가는 이 나무를 염주나무, 때로는 보리수라고 부르기도 해. 보리수나무는 따로 있는 데 말이지. 하하




무환자나무 무리를 나타내는 속(屬)의 이름 sapindus는 '인도의 비누'라는 라틴어에서 유래된 말이고, 영어 이름(soapberry, 솝베리)은 아예 비누열매란 뜻이야. 왜 이런 이름이 붙었을까?

열매 껍질과 줄기나 가지의 속껍질에 ‘사포닌’이라는 일종의 계면 활성제가 들어 있어서 인도에서는 빨래를 할 때 우리나라의 잿물처럼 사용했기 때문이란다.

최근에 환경을 생각해 ‘소프넛’을 샴푸 대신 사용하는 사람들도 많이 생겼는데, 바로 그 소프넛이 무환자나무 속 나무의 열매지. 참 쓰임이 좋은 나무지?







400살로 추정되는 이 부여 만사리의 무환자나무는 2008년 문화재청에서 추진한 <주요 수종별 우수 노거수 천연기념물 지정조사>를 통해 상세히 조사된 적이 있는데, 3명의 연구진(심사위원) 모두 이 나무를 천연기념물 지정으로 보존할 필요가 있다고 이야기 했단다.

무환자나무가 생활문화 속에 녹아있는 전통나무이지만 이렇게 고목으로 남아있는 경우가 드문데다 수형도 아름답고, 생육상태도 좋은 편이어서 무환자나무를 대표할만한다고 보았기 때문이지.

 

그런데 아쉽게도 아직까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지는 못했단다.

이러한 고목나무들은 하루 빨리 국가차원에서 관심을 두고, 관리할 수 있도록 천연기념물로 지정이 필요하겠구나. 우리가 고목나무에 관심을 가져준다면 가능하겠지? 




나무 할아버지와 함께 만난 충남 부여 무환자나무

  • 고목나무 : 무환자나무 (Sapindus mukorossi Gaertn.)
  • 그       루 : 1그루
  • 추정나이 : 약 400년
  • 관리등급 : 충청남도 부여군 보호수
  • 고유번호 :  부여-164
  • 지정일자 : 1979.08.07
  • 소  재  지 : 충남 부여군 임천면 만사리 32-19

  • 소  유  자 : 만사리 (관리자 : 임천면장)




*고목나무 : 주로 키가 큰 나무로, 여러 해 자라 더 크지 않을 정도로 오래된 나무를 말하고 있습니다. 노거수(巨樹에 老를 붙여서 쓰는 말)라는 말보다 고목(古木)나무로 정감있는 표현을 씁니다.

*보호수 : 유전자, 종, 생태계 등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해 나무를 보호하는 제도 또는 그에 따라 지정된 나무를 말합니다.



나무 할아버지 박상진 교수님은? 


1963년 서울대 임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교토대학에서 농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산림과학원, 전남대 및 경북대 교수를 거쳐 2006년 정년 퇴임했으며 현재 경북대 명예교수로 있다. 한국 목재공학 회장, 문화재청 문화재 위원을 역임했다. 2002년 대한민국 과학문화상, 2014년 문화유산 보호 유공자 포상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오랫동안 궁궐을 비롯한 역사 문화 유적지에 자라는 고목나무 및 천연기념물 나무 조사와 해인사 팔만대장경 경판, 관재, 고선박재, 고건축재 등 목조문화재의 재질 연구도 함께 해왔다. 지금은 우리 선조들이 나무와 어떻게 더불어 살아왔는지를 찾아내어 글을 쓰고 강연과 답사를 통하여 이를 소개하는 일에 매진하고 있다.


저서로는 ≪궁궐의 우리나무≫(눌와, 2014), ≪나무탐독≫(샘터, 2015), ≪문화와 역사로 만나는 우리나무의 세계Ⅰ,Ⅱ≫(김영사, 2011), ≪우리 문화재 나무답사기≫(왕의서재, 2009), ≪나무에 새겨진 팔만대장경의 비밀≫(김영사, 2007), ≪역사가 새겨진 나무이야기≫(김영사, 2004), ≪나무, 살아서 천년을 말하다≫(중앙랜덤하우스, 2004) 등이 있다.


생명의숲 회원이자 고문으로 나무와 숲의 귀함을 시민에게 알리기 위해 <궁궐과 왕릉의 나무이야기>, <숲기행>, <궁궐의 오래된 나무 만나기> 등을 함께 하고 있으며,  2021년 시민 모두가 쉽게 우리가 지켜야 할 나무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 박상진 교수의 나무세상 페이지를 생명의숲에 기부하였다.


우리 주변의 보호수와 이름 없는 고목나무를 위해 행동하는 생명의숲과 함께 하기


생명의숲 정기후원하기  http://bit.ly/supportforest

생명의숲 뉴스레터 구독하기  http://bit.ly/newsforest

더 많은 나무이야기가 궁금하다면,  http://treestory.forest.or.kr



** 고목나무 이야기에 소개되는 고목나무에 대한 자료와 정보(사진, 방문기)를 공유 해 주세요. 공유해주신 자료(최근사진)는 해당페이지에 출처표기 후, 앞으로 유용한 자료로 쓰입니다. 아래 메일주소로 고목나무 정보 공유 소식을 기다립니다. 

everyone@forest.or.kr

* 댓글은 <성명,비밀번호, 내용 입력 후 '로봇이 아닙니다' 앞 네모를 클릭> 하셔야 등록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