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시민의 안전을 담보하지 않는 반달가슴곰 복원 사업 중단해야 주소복사

시민의 안전을 담보하지 않는 반달가슴곰 복원 사업 당장 중단해야


- 23일 환경부, 6월 김천 수도산에서 포획, 재방사 된 반달가슴곰(KM-53) 수도산으로 이동 밝혀

- 함께 공존하기 위한 기본 조건은 안전, 안전을 담보하지 않는 반달가슴곰 복원 사업 중단 필요

- 지리산 반달가슴곰 복원 정책과 서식 환경에 대한 사회적 논의 필요

23일 환경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6월  김천에서 포획, 재방사 된 반달가슴곰(KM-53)이 수도산으로 이동했으며, 포획, 회수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반달가슴곰(KM-53)은 김천 공존숲 숲길 조성 공사 중이던 작업자에 의해 최초 발견됐었다. 


초기 김천에서 반달가슴곰이 발견되었을 때, 야생곰, 탈출한 사육곰, 지리산 반달가슴곰인가에 대한 논란이 있었으며, 특히 지리산 반달가슴곰은 행동반경을 고려했을 때 김천까지 이동했을 확률은 매우 낮다고 했었다. 하지만 조사 결과 지리산 반달가슴곰으로 밝혀졌다. 이례적인 상황으로 반달가슴곰의 행동 반경이나 서식 환경을 벗어난 원인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별도 조사 없이 재방사 되었으며, 김천 수도산으로 이동한 사실이 확인되었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지리산 반달가슴곰이 김천으로 이동할 때까지 별다른 조치를 취하고 있지 않다가 반달가슴곰의 목적지가 거의 확인 됨에 따라, 올무 등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포획, 회수를 시도 중이라고 밝혔다. 환경부는 모니터링을 통해 곰의 위치를 추적하고 있었겠지만, 그동안 시민들은 위험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었다. 지리산 광역 보호구역 외 반달가슴곰이 이동한 지역의 관계 주민, 시민들은 곰의 위험도에 대해 거의 인지하지 못한 상황이며, 이에 대해서 환경부는 반달가슴곰이 권역을 벗어나는 상황 발생에 대해 즉시 밝혔어야 했다. 환경부는 서식지 확대의 가능성을 평가하기 전에 지역 주민, 시민들의 안전을 우선 고려해야 하며, 안전을 담보하지 않는다면 반달가슴곰 복원 사업은 당장 중단되어야 한다.


재방사 된 반달가슴곰(KM-53)의 김천 수도산 이동 사례를 통해 지리산 뿐만 아니라 한반도 전역이 곰 서식지로 확대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계기로 현재 설정된 지리산 구역에 대한 적합성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장기적 계획 아래 반달가슴곰이 사람과 살 수 있는 환경에 대해 진단하고 공존하기 위한 사회적 논의가 진행되야 한다.


지리산 반달가슴곰이 찾은 수도산은 김천시, 유한킴벌리, 생명의숲에서 협력 운영하는 '공존숲'이다. 숲과 사람, 생명이 공존하기 위한 기본 조건은 안전이며,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해서는 소통과 합의를 바탕으로 한다. 이번 김천 공존숲을 찾은 지리산 반달가슴곰 사건을 계기로 서식 환경에 대한 적합성 평가와 더불어 반달가슴곰 복원 사업에 대한 전면적 재검토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시민의 안전이 바탕이 되어야 할 것이다. 

* 댓글은 <성명,비밀번호, 내용 입력 후 '로봇이 아닙니다' 앞 네모를 클릭> 하셔야 등록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