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 경북∙강원 대형 산불에 대한 논평 -(사)생명의숲]
대형산불 예방과 피해저감을 위한 재난안전관리 측면의 숲관리가 필요하다.
- 조속한 진화와 함께 산불 피해를 입은 주민의 위로와 치유가 우선되어야 한다.
- 재난안전관리 측면의 숲 조성 및 관리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지난 3월 4일 발생한 경북강원 산불이 며칠째 계속되고 있다. 역대 최대 산불이다. 경북강원산불로 사라진 숲은 2만3993ha(3월 10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발표)에 달하며 서울 면적의 40%나 된다. 산림피해만 있는 것이 아니다. 400여 채의 가옥과 건물이 불타고 수많은 이재민이 발생했다. 수백만 그루의 나무가 죽고, 야생동식물은 죽거나 서식지를 잃었으며, 숲과 기대어 살던 주민들은 삶터를 잃었다. 이번 산불로 인한 피해와 고통을 회복하고 치유하는데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우리 사회가 함께 치유하고 회복해야 할 과제다. 치유와 회복은 피해를 입은 주민에게 위로와 죽어간 생명에 대한 애도로부터가 시작일 것이다.
아직 산불이 완전히 진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산불 예방, 원인과 진화, 피해저감에 대한 논쟁을 시작하는 것은 산림소방행정이 산불진화에 집중해야 하는 지금 적합하지 않다. 하지만, 이미 산불 원인과 피해 확산을 두고 사회적 논란이 있는 상황에서 생명의숲은 산불예방, 산불피해저감, 산불 진화, 산불피해지 복원과 예방 차원의 산림관리방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산불 예방을 위한 시민생태교육이 필요하다. 산불은 자연발생적으로 또는 인간의 활동에 의해 발생한다. 우리나라 산불의 대부분은 인간에 의한 실화 또는 방화다. 우리 산이 우거져 생물량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한 산불은 과거보다 훨씬 큰 피해를 주고 있다. 발생 이후 신속한 진화 여부를 떠나 발생 원인을 사회적으로 줄이거나 통제하는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하다. 감시와 규제 중심이 아닌 시민 스스로 산불의 위험성을 인식하고 산불을 경계할 수 있는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숲해설이나 산림 치유, 정책적으로 진행되는 환경교육에 산불예방 교육을 필수적으로 포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시민, 지역사회 차원의 산불피해지 답사, 모니터링, 홍보를 통해 산불이 주는 피해에 대해 알고 경각심을 높이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둘째, 일부 전문가와 단체, 언론에서 산불피해 확대의 원인으로 주장하는 숲가꾸기 등 산림관리 방법에 대한 사회적 검증을 통해 숲가꾸기의 산불피해 저감의 효용성에 대해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기후위기로 인한 봄철 건조 현상, 적은 강수, 강우량, 동해안의 지형, 기후, 바람, 숲의 구조 등이 복합적으로 대형산불의 주요 원인이다. 숲가꾸기만을 두고 단편적으로 산불피해 확대 원인이라고 볼 수 없다. 다만, 산림청이나 입업계에서 실행하고 있는 숲가꾸기가 산불피해 확대의 직접적인 원인을 제공한다는 사실을 객관적으로 입증하지 않은 채 문제가 있다는 주의주의적 주장도 문제고 숲가꾸기의 문제에 대한 사회적 주장에 대해 덮어놓고 무시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사회적 검증을 통해 산불피해를 줄일 수 있는 숲조성과 숲가꾸기를 포함한 생태계 관리 전반에 대한 새로운 산림관리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산림청에서는 사회와 소통하며 산림정책을 펼치는 것이 풍요로운 산림으로 가꿔가는 길일 것이다.
셋째, 주민 생명과 재산 피해 저감을 최우선 과제로 하는 재난안전관리적 측면의 숲조성과 관리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번 발생한 산불 지역에는 확산된 형태의 산촌마을과 주거지가 형성되어 있다. 민가 주변의 소나무 등 침엽수림으로 둘러싸인 경우 주거지가 전소되는 등 산불피해가 매우 크다는 것은 이미 입증된 사실이다. 재난안전관리 측면에서 산촌마을과 주거지 주변 산림은 활엽수림으로 조성하고 복원해야 한다. 인화성이 강한 소나무 등 침엽수림으로부터 일정구간 거리두기 형태의 지역계획도 필요할 것이다. 산불이 넘나드는 주요 능선 주변에 방화수림대를 체계적으로 조성하고 지속적으로 기능이 유지될 수 있게 관리해야 하며 산불피해를 입지 않은 산촌과 주거지 주변 산림은 지금부터라도 낙엽활엽수로 교체하여 내화성을 높여 내야 할 것이다.
넷째, 신속한 진화를 위한 민관합동 진화전략과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보니 진화체계에 문제가 많아 보인다. 급경사 고지대 산불은 위험해서 인력으로 진화하기 어렵다. 그래서 헬기 동원과 특수진화대 투입이 진화전략의 중심이 되고 있다. 완경사 저지대와 민가근처는 일반 소방인력이 대거 투입되어 산불확산을 저지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략적으로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다만, 진화인력 운용체계에 헛점이 있다는 이야기가 있어서 이에 대한 점검 또한 필요해 보인다. 진화인력 투입을 통한 진화도 매우 중요한만큼 진화인력 운용관련 지휘체계와 시스템을 점검하고 문제점이 있다면 개선해야 한다.
다섯째, 산불피해 복원 과정은 시민, 지역사회와 소통하며 계획이 수립, 실행되어야 한다. 기후변화로 인한 봄철 건조현상은 심화할 것이고 바람세기 또한 증가할 것이다. 동해안의 지형, 기후적 특성은 산불발생시 피해를 더 크게 만들 것이다. 또한 현재 추세대로라면 산림의 생체량이 증가하면 산불피해는 더 확대될 것이 명약관화하다. 이러한 산불을 둘러싼 환경생태적, 사회인문적 변화를 통찰하고 기존의 산불관리 전략에 문제가 없는지 점검하는 것은 정기적으로 되어야 할 절차가 되어야 할 것이다. 산불피해 복원 과정, 특히 내화수림대를 조성하고, 관리하는 과정에서 지역사회의 이해와 동의를 구하는 것도 중요할 것이다. 시민, 지역사회와 소통은 재난안전관리 측면의 숲을 조성하고 관리를 지속 가능하게 할 것이다.
아직, 울진의 산불이 다 꺼지지 않았다. 산불에 대한 사회적 논쟁은 산불이 진화된 이후에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지금은 산불을 진화하기 위해 애쓰는 산림소방당국에 감사와 피해를 입은 주민에게 위로와 치유가 먼저다. 산불로 죽어간 생명에 애도를 표한다. 지금은 조속한 진화가 이루어지기 위해 힘을 모을 때다.
[ 생명의숲 정책활동팀 최승희 02-499-6214 ]
검색중입니다
* 댓글은 <성명,비밀번호, 내용 입력 후 '로봇이 아닙니다' 앞 네모를 클릭> 하셔야 등록이 됩니다.